티스토리 뷰

목차


    반응형

    2024년 12월 10일 국회 본회의에서 2025년도 예산이 의결되었습니다. 청년들은 놓치지않고 끝까지 읽으시면 많은정보 얻으실 수 있으니 꼭 끝까지 읽어주세요

    청년 全 주기 (탐색-구직-재직) 맞춤형 지원 (All care) ★ 청년미래도약

    사업명 25년 예산 주요 내용
    청년고용지원인프라 1,079억 (+266억) 졸업생 특화프로그램 신설 (+175억)
    대학 고교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(+103억, 각+10개교)
    청년일자리창출지원 7,772억 (+1,195억)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1유형(5.5만명)
    취업애로청년을 채용한 사업주 월 최대 60만원(최대 720만원) 지원
     2유형 신설(4.5만명)
    빈 일자리 업종 사업주가 청년 채용시 월 최대 60만원(최대 720만원) 지원 + 청년에겐 근속인센티브 최대 480만원 지원
    청년취업 진로 및 일경험지원 2,918억 (+477억) ·  청년 일경험 지원(+423억, 4.8 → 5.8만명(+1만명)) 
    ·  청년도전지원 및 직장적응 지원(+53억, 구직단념 청년 등)
    그 외   청년 미래 플러스 (+20억), 미래유망고졸인재양성(+11억)

     

    청년에 대한 미래투자 강화

    (All care) 재학,졸업단계부터 맞춤형 상담,훈련 등을 지원하여 구직단념을 예방, 미취업졸업생 특화프로그램 신설

     

    ✔대학재학생맞춤형: 463억(+74억, +10개교), 고교재학생맞춤형: 91억(+29억, +10개교)

    ✔NEW졸업생특화프로그램: 175억(120개교) → 국회 심의과정에서 △25억 감액

    ✔직장적응지원: 46억(33백명), 청년도전지원: 717억(6.2만명),

    ✔NEW청년미래플러스: 20억

    (일경험 확대) 직무경험 중시 채용 트렌드 고려, 실무경험을 통해 취업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일경험 지원 계속 확대

    ✔청년일경험지원: 2,141억(+423억, +1만명, 총 5.8만명) → 국회 심의과정에서 △46억 감액

    (빈 일자리 매칭) 지역 빈일자리 업종의 구인난 해결과 취업애로청년의 일자리 기회 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 신설

    ✔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: 7,772억(+1,694억, 10만명), 청년국가기술자격시험응시료지원: 242억

            ↳ NEW2유형 신설: 빈일자리 업종 청년 채용 후 6개월 고용유지시 사업주 월 최대 60만원

   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청년은 근속인센티브 최대 480만원 지원(18·24개월 근속 시 각 240만원)

    ✔NEW청년취업정착패키지: 75억(5개소)

    ✔NEW국민취업지원 빈일자리 매칭지원: 228억

    ✔NEW청년일자리강소기업 선정 및 육성패키지: 8억 → 국회 심의과정에서 △15억 감액

    ✔NEW빈일자리 재직청년 기술연수: 42억 → 국회 심의과정에서 △30억 감액

    ✔해외취업지원: NEW연수생 숙박비(14억), NEW국내복귀자 지원(10억, 컨설팅 및 취업매칭) 신설

    진로를 탐색하는 재학생, 졸업생

   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의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확대

    (기존) 대학 입학후 진로선택의 어려움

    (변경)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1:1 상담 

    → (저학년) 진로설정, (고학년) 역량 강화 

    * 대학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(60개 (+10개)

     

    대학 일자리플러스 센터를 통한 미취업 졸업생 특화 프로그램 신설

    (기존) 졸업후 심리적 거리감이있어 졸업생 참여 애로

    (변경) 미취업 졸업생 발굴 → 졸업생 특화 취업지원 프로그램 제공 (대학일자리 플러스 센터 내 대학 120개교 운영)

     

    구직 청년

    공채 ↓ 수시 경력직 채용 ↑ 경향에 대응, 양질의 일경험 기회 확대

    (기존) 4.8만명 일경험 지원 중이나 청년 수요대비 부족

    (변경) +1만명의 청년에게 인턴, 프로젝트 등 일경험 기회 제공 (5.8만명)

     

    부처 협업을 통한 K-디지털 트레이닝 훈련 규모 확대

    (기존) 첨단기술 훈련기관 부족 → 청년이 충분한 기회를 얻지 못함

    (변경) 첨단. 전략 산업 설비 보유 대학 등 훈련 운영 → 미래 유망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 제공

     

    지역 청년의 구직의욕 고취부터 취업활동까지 체계적 지원

    (기존) 쉬었음 청년 증가에도 구직 단념 청년 등 지원부족

    (변경) 구직의욕 고취프로그램 참여 → 역량강화, 취업활동까지 체계적 지원

    재직청년

    산업단지 취업 청년에 대한 특화 온보딩 사업 신설

    (기존) 산업단지 입주 기업에 취업한 청년 → 직장적응 애로 多

    (변경) 산단 입주기업 취업 청년이 온보딩 프로그램에 참여 → 직장 적응 지원

     

    부처간 협업으로 청년이 근무하기 좋은 기업 발굴 , 지원 강화

    (기존) 우수강소기업에 대한 청년의 낮은 인지도

    (변경) 청년 일자리의 양,질, 기업 경쟁력이 우수한 청년 일자리 강소기업 선정

    빈일자리 취업 청년

    청년에게 일자리 지원 및 인센티브 패키지 지원

    (기존) 지역 빈일자리 업종 구인난 심화청년 구직난 여전 → 미스매칭

    (변경)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2유형 신설 → 빈일자리 취업 청년과 사업주 모두 지원하여 미스매치 해소 

              (사업주) 6개월 이상 고용시 최대 720만원(1년) 

             (청년) 근속장려금 480만원 (2년근속)

     

    (기존) 빈일자리 업종 중소기업 청년 → 선진기술 습득 기회 부족

    (변경)

    빈일자리 업종 재직 청년에게 현장훈련기회(연수) 제공

    국민취업지원제도 청년 빈일자리 특화 프로그램 신설 (1.3만명)

    반응형